본문 바로가기

일상, 취미, 리뷰

신생아 특례 대출 및 복지 정책 _ 2024년 신생아 특례 3종, 저출산 정책_ 1% 대 금리

반응형

계속 되는 한국의 출산율 저하로 인해, 정부에서는 신생아 특례 복지안을 몇가지 내 놓았습니다. 이 중에서도 가장 관심이 가는 것이 신생아 특례 대출 이었는데요, 아기가 태어나면서 더 큰 집도 필요 하게 되고 여러가지 재정적 필요가 있을 텐데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기를 기대해 봅니다. 

 

정부는 내년 3월 신설 하는 특례대출 목표 금액을 약 27 조원으로 설정했다고 합니다. 

 

> 클릭! 국토 교통부가 2023년 8월 내놓은 저출산 극복을 위한 주거지원 방안의 자세한 자료를 참고하세요!

 

신생아 특공, 특례.pdf
0.57MB

 

정부가 내놓은 2024년 신생아 특례에서는, 혼인 여부에 관계 없이 특례대출을 공급 한다고 하는데요, 대출의 종류에는 주택 구입 자금, 전세 자금 대출 이렇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금리 또한 시중 은행 보다 약 1~3% 가 저렴해서 자녀를 막 출산 했거나 출산 계획 중인 무주택자 커플의 관심이 높아 질 것 같습니다. 2023년 부터 출생 한 아이부터 적용이 된다고 합니다. 

 

출처: 국토교통부

 

저도 관심이 많아서 알아 보았습니다. 저의 경우 내년 5월 정도 출생예정일인데요, 전세 자금 대출을 조금 더 얹어 약간 더 큰 집으로 가려고 계획 하고 있었습니다. 서울의 아파트 값이 비싸다 보니 전세 대출을 생각 할 수 밖에 없었는데요.

 

저희는 지금은 서울시 신혼부부 대출로 전세 대출을 이미 받은 상태입니다. 현재 서울시 신혼 부부 대출이 2년 전에는 이자가 1% 대 였지만, 점점 금리가 올라 지금은 3.3% 대 입니다. 내년 3월말에 2년만기가 채워 져서, 이사 갈 때 버팀목 신혼부부 대출로 갈아탄 후, 아이를 5월에 출생 후에 신생아 특례 대출로 전환이 가능 하다고 하네요. 대출 상담은 좀더 받아봐야 하지만요. 버팀목 신혼부부 대출은 금리가 약 2프로 대 인거 같고, 신생아 특례대출 또한 이자가 1.1~3.0% 대 이니, 서울시 신혼부부 대출 이자가 너무 불어서 꼭 내년에 갈아타야 할 거 같습니다. ㅠ ㅠ 

 

정부에서 주는 여러가지 출산 장려 정책들이 있는데, 저희 같은 신혼 부부에게 큰 도움이 될거 같아요. 

 

이 외에도 2024년 부터 산후 조리비 200만원 지원, 신생아 양육비가 월 70만원에서 월 100만원으로 늘어 난다고 하니, 아이 양육에 많은 도움이 될 거 같습니다. 육아 휴직도 2023년에는 유급기간이 12개월이었으나, 2024년에는 18 개월 (부부 모두 3개월 이상 육아 휴직시) 그리고 상한액은 150 만원에서 최저임금 수준 (2024년 기준 약 206만원) 으로 늘어난다고 합니다. 

 

신생아 출산 가정을 위해 공공분양 청약 기회가 확대 되고, 공공 임대 입주 기회도 확대 된다고 하니 청약 또한 계속 봐 놓았다가 좋은 혜택을 받았으면 좋겠네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