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 취미, 리뷰

모르면 손해보는 건설기술인, 건축사등록원 실무수련자 등록 하기

반응형

건축학과 나오고 나서 건설기술인, 건축사등록원 실무수련자 등록하기 
 
건축학과를 졸업하셨다면 그리고 그 길로 나의 커리어를 쌓으려고 하신다면 건설기술인을 꼭 등록 하셔야 해요. 
 
사실 안하시는 분들도 있어서, 안해도 되는 줄 알았는데요, 만약 이 두 가지를 아무도 알려주지 않았다면 정말 꼭 알고 가셔요~~
 
건설기술인 경력 관리는 건축, 건설 쪽 관련 일을 하시는 분들을 위해 경력 관리를 쉽게 하기 위해서 또 공공 기관 건축 일을 수주 하실때 요즘은 필요 서류로 제출을 하는 곳이 많아졌어요. 등록을 해놓으시면 경력 증명서를 회사에 요청 하지 않아도 건설기술인 협회에서 언제나 받아 출력 할 수 있고, 나의 경력을 증명 할 수 있어 좋습니다. 
 
건설기술인은 초급 에서 특급 까지 나누어 지는데요. 점수, 가산점들이 있어요. 관련 학과나 관련 자격증이나 이런 것들도 가산점에 들어가구요, 최초로 등록 하시는 거면 등록 후에 건설기술인 최초 교육도 이수 해야 할 것이 있어요. 
 

https://work.kira.or.kr/

대한건축사협회 경력신고 통합관리 시스템

work.kira.or.kr

이 곳은 대한건축사협회에서 관리 하고 있는 건축, 설계 관련 한 일을 하시는 분들이 경력 신고를 하는 '건설기술인' 을 위한 서비스에요. 건설기술인 협회에 들어가지 않아도 이 곳에서 등록 하시면 경력 관리가 연동이 됩니다. 건축학과를 나오고, 설계 관련 일 (건축사사무소) 에 종사하고 계신다면 이곳에 꼭 등록을 해주세요. 
 
그리고 건축사사무소에 경력을 쌓아 건축사 시험을 보고 싶으신 분들이라면 꼭 건축사등록원 실무수련자에 등록을 해야 합니다.
 

https://www.kirakarb.or.kr/

https://www.kirakarb.or.kr/

www.kirakarb.or.kr

건축사 뿐만 아니라, 실무 수련 경력 3년을 (건축학과 5년제 또는 건축 대학원) 채워 건축사 자격 시험을 보고자 하시는 분들은, 그리고 건축사사무소에 취직 하신 분들은 취직 하자마자 꼭 최초 신고를 해주셔야 해요. 종류 별로 채워야 하는 최소 날자가 있고, 총 3년의 기간을 채우셔야 건축사 자격시험을 등록 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집니다. 
 

반응형

 

안 해 놓으시고 나중에 경력 쌓고 나서 알게 되시면 정말 시간이 아깝잖아요. 저도 아는 어떤 분이 건축학과 나와서 건축사사무소 야근도 하면서 열심히 다니다가 아무도 이야기 안해줘서 1-2년 경력 날리신 경험이 있다고 하셔서 너무 슬퍼 하시더라구요. 
 
이렇게 최초 신고를 하신 후 경력을 온라인으로 입력 하고 건축사사무소에 인증을 요청 하시면 인증을 해 주십니다. 건축사분은 건축사 등록원에 들어가서 인증 해주시면 된다고 하네요. 그러면 경력이 인정이 되어요. 한꺼번에 하면 잘 기억이 안 날 수도 있으니 보통 프로젝트가 끝날때 마다 해 놓으면 좋다고 하시네요. 
 
건축 하는 분들에게는 경력이 정말 중요하다고 합니다. 좀 번거롭지만 경력을 꼭 잘 관리 하셔서 좋은 커리어를 잘 쌓으시길 바래요. 
 
 

반응형